ICD-O 3판은 IARC와 WHO가 공동으로 개발하였다. 신생물을 위한 형태학적 코드를 개정하였는데, 특히 림프종과 백혈병을 위한 코드를 개정하였다. 림프종의 REAL(Revised European-American Lymphoma) 분류와 백혈병의 FAB(French-American-British) 분류를 대신하여 WHO 분류를 도입하였다. 또한 ICD-O 3판은 골수성 백혈병 (Myeloid leukemias)에 대해 형태학과 세포유전학적 이상의 용어를 동시에 반영하고 있다.
ICD-O-3 구조 및 형식
ICD-O는 해부학적 부위(topography)와 형태학(morphology) 둘 모두를 고려한 코드화 체계를 가진 이원 분류이다. 해부학적 부위 코드는 신생물의 발생부위를 기술하고, 형태학 코드는 종양의 세포종류와 그것의 생물학적 활동(biologic activity), 즉 종양 자체의 특징을 표현한다.
- ICD-O-3 의 책자 구성
- I. 사용을 위한 지침
- II. 해부학적 부위(Topography) 번호별 목록
- III. 형태학(Morphology) 번호별 목록
- IV. 알파벳 색인
- V. 2판과 3판 사이의 형태학적 코드 차이
- 해부학적부위(Topography)
해부학적 부위편은 ICD-10 2장의 악성 신생물 편을 중심으로 보완하였다. 각종 해부학적 부위 용어들은 C00.0에서 C80.9까지 이어지는 4자리 문자코드를 가진다. 소수점(.)은 세자리 문자범주와 하위분류를 나눈다.
- 형태학 (Morphology)
ICD-O, 1판과 2판의 형태학 부분이 개정되어, 새로운 용어가 추가되었으며, 비호치킨 림프종과 백혈병 부분은 조혈 및 림프계 질병에 대한 WHO 분류에 기초하여 개정되었다. 또한, 최근 문헌에 등장해 온 새로운 용어들이 포함되었고, 하나 이상의 분류체계에서 신생물에 대한 용어를 가져오기도 했다. 특히, 악성 림프종(M959~971)에서 많이 나타난다.
형태학 용어는 5자리 코드를 가지며 M8000/0에서 M9989/3까지 걸쳐 있다. 처음의 4자리는 특정한 조직학적 용어를 나타낸다. 사선(/)뒤에 있는 5번째 자리는 종양이 악성인지, 양성인지, 정상소재인지, 또는 불명인지를 나타내는 행태 코드이다.
조직학적 등급이나 분화도를 나타내는 별도의 한자리 코드가 제공된다. 림프종 또는 백혈병의 경우는 이 한자리 코드가 T-, B-, Null, NK-celll 기원을 밝히기 위해 사용된다.
완전한 ICD-O 코드는 10개의 숫자 또는 문자로 제시되는데, 해부학적 부위(4개의 문자), 형태학적 유형(4개의 숫자), 행태(1개의 숫자), 신생물의 등급이나 분화도 또는 백혈병이나 림프종에서 이와 동등한 것(1개의 숫자)으로 구성된다.